내 교과 설정

마이허브 > 교과에도 반영 됩니다.

  • 국어
  • 영어
  • 수학
  • 과학
  • 사회
  • 지리
  • 역사
  • 도덕
  • 기술·가정
  • 정보
  • 음악
  • 미술
  • 체육
  • 연극
  • 한문
닫기
닫기

사이트맵

닫기

중등

  • 역사 1 (김형종) 09개정
HOME 나눔 · 소통 오늘의 역사

오늘의 역사

달력 속에서 만나는 역사 속 오늘! 달력을 넘기면서 지나간 시대의 인물과 사건을 만나는 시간 여행을 합니다.

대한제국 군대 해산

1907(융희 1)년 일본이 대한 제국의 군대를 강제로 해산시킨 사건이다. 이토 히로부미가 순종에게 군대 해산 조칙을 내리게 하여 1907년 8월 1일 서울에서부터 실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시위대 대대장 박성환은 비분을 참지 못하여 자결했으며, 시위 보병들이 서울에서 일본군과 교전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1905년 을사조약으로 외교권을 박탈당한 후 1907년 고종 황제는만국 평화 회의가 열리는 네덜란드 헤이그에 밀사를 파견하여 세계 열강에 우리나라의 국권 회복을 호소하고자 하였다. 일제는 헤이그 특사 파견을 구실로 그해 7월 20일 고종 황제를 퇴위시켰다. 그리고 7월 24일에는 한·일 신협약(정미 7조약)을 체결하여 통감의 권한을 강화하고, 일본인을 각 부서의 차관으로 임명하여 대한 제국의 내정을 장악하였다.

 

한·일 신협약 체결과 동시에 그 부속 조항으로 이완용과 이토 히로부미 사이에 비밀 각서가 교환되었다. 그 가운데 ‘군비의 정리’ 항목에서 “장차 징병법을 시행하여 보다 뛰어난 새 군대를 양성하기 위한 준비 단계로 현 군대를 정리해야 한다.”는 것을 규정하였다. 이 비밀 각서에 의해 군대 해산이 이루어졌는데, 통감부는 사전에 중요 무기와 탄약은 일본군 관할에 두어 한국군의 화력을 약화시키고, 한국군의 무력 항쟁을 예상하여 화약과 탄약고부터 접수하였다. 그리고 7월 31일 순종으로 하여금 군대 해산 조칙을 내리게 하였다. 


1907년 8월 1일 동대문 밖 훈련원에서 대한 제국 군대 헤산식이 강제로 거행되었다. 군대 해산은 철저하게 비밀에 붙인 탓에 몇몇 지휘관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병사들은 이 소식을 까맣게 모르고 있었다. 맨손 훈련이 있으니 전 병사들은 무장 해제를 하고 집합하라는 소집 명령을 받았을 뿐이었다. 그곳에서 대한 제국군 장교들은 차고 있던 칼을 빼앗겼고, 도열해 있던 장병들의 견장이 뜯겨 나갔다. 주위에는 이미 일본군 헌병들이 중무장한 채 병사들을 포위하고 있었다.

 

이 소식을 전해들은 황실 근위 부대인 시위 연대 제1 대대장 박승환은 격분하여 권총으로 자결하였다. 그는 “군인으로서 나라를 지키지 못하고 신하로서 충성을 다하지 못했으니, 만 번 죽어도 아까울 것이 없다.”라고 유서를 남겼다. 무장을 해제하고 훈련원으로 출발하기 직전 대대장의 자결에 충격을 받은 시위대 장병들은 무기고를 부수고, 총기와 탄환을 꺼내어 일본군에 대항하였다.

 

구식총으로 무장한 대한 제국군 700여 명은 기관총으로 무장한 2개 대대 병력 규모의 일본군에 맞서 서울 숭례문(남대문) 등에서 장렬하게 싸웠다(숭례문 전투), 군대 해산 명령 직전 서울에는 대규모의 일본군이 이미 증파되어 있었고, 대한 제국군의 무력은 그들을 감당해낼 수 없었다. 서울 군대의 해산에 이어 지방의 진위대도 잇달아 해산되었다. 그중 원주 진위대와 강화 분견대는 해산에 저항하여 봉기하였지만, 이들 역시 일본군에게 진압되었다.

 


◁ 프랑스 언론 르 프티 주르날에 실린 숭례문(남대문) 전투: 봉기군을 진압하기 위해 기관포로 무장한 일본군 대대 병력이 투입되었고, 이를 맞아 대한 제국군은 병영을 중심으로 방어전을 펴고 무려 4시간 이상이나 장렬한 전투를 계속하였다. 이날 전투에 대해 일본군은 “이후 적어도 며칠 동안은 일본인들이 경의를 가지고 한국과 한국인을 대하지 않을 수 없었던 용감한 방어전이었다.”라고 평가하였다.























군대 해산은 대한 제국의 실질적인 멸망을 뜻하는 비극적인 사건이었다. 그러나 이를 계기로 의병 전쟁에 종래와는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해산 군대의 일부가 각지의 의병 투쟁에 참가함으로써 활동 지역이 크게 확대되었다. 근대식 무기와 훈련으로 무장한 해산 군인들의 의병 합류는 의병의 항일 운동에 큰 도움이 되었다. 이들의 항전은 의병 항쟁을 전국적인 항일 전쟁으로 발전시킨 계기가 되었으며, 이후 무장 독립 전쟁의 밑거름이 되었다.

26
27
28
29
30
31
7

금주의 인물 사건

23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