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교과 설정

마이허브 > 교과에도 반영 됩니다.

  • 국어
  • 영어
  • 수학
  • 과학
  • 사회
  • 지리
  • 역사
  • 도덕
  • 기술·가정
  • 정보
  • 음악
  • 미술
  • 체육
  • 연극
  • 한문
닫기
닫기

사이트맵

닫기

중등

  • 역사 1 (김형종) 09개정
HOME 나눔 · 소통 오늘의 역사

오늘의 역사

달력 속에서 만나는 역사 속 오늘! 달력을 넘기면서 지나간 시대의 인물과 사건을 만나는 시간 여행을 합니다.

경인선 ( 京仁線)

대한 제국기에 서울과 인천 간을 잇는 철도이다. 1899년 인천 제물포역에서 노량진역까지 개통하고, 1900년 한강 철도 부설 후 서울역까지 연장되었다.

세계에서 처음 철도가 개통된 것은 1825년 영국 스탁턴 앤드 달링턴 철도(Stockton and Darlington Railway)였다. 그로부터 74년이 지난 1899년 9월 18일 우리나라에도 최초의 철도인 경인선이 개통되었다. 경인선은 노량진~제물포 간을 잇는 33.2 km였다.

 

경인선은 1889년 주미 대리공사였던 이하영이 귀국하면서 철도 모형을 가져온 것이 철도 부설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조선은 자력으로 철도 건설을 시도하였으나, 기술력과 자금 부족 등으로 실행에 옮기지 못하였다. 미국인 제임스 모스는 1896년 고종 황제로부터 경인 철도 부설권을 특허받아, 인천에서 미국인 거상 타운센드와 함께 한국개발공사를 설립하고, 1897년 3월 인천 우각동에서 기공식을 가졌다.

 

그러나 자금난에 처한 모스는 1899년 1월 부설권을 일본의 경인철도인수조합에 넘기고 말았다. 모스로부터 모든 권한을 인수한 일본은 그해 4월 두 번째 기공식을 인천에서 가졌다. 공사는 빠르게 진행되어 노량진~제물포 간의 철도 부설이 끝나고 1899년 9월 18일 경인선 개통식을 갖고, 임시 영업을 시작하였다.


△경인선 개통식: 미국 부룩스 회사의 모걸형 탱크 기관차에 성조기와 일장기가 걸려 있다. 이를 통해 이 기관차의 운영과 소유는 외세였음을 알 수 있다. 경인선은 1900년 한강 철교 개통 이후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노량진역에서 한강 철교 쪽으로 가다 보면 '한국 철도 시발지비'가 있다. 

 

당시 경인선은 기관차 4대, 객차 6량, 화차 28량으로 첫 운행을 하였다. 당시 개통된 역은 인천 - 축현 - 우각동 - 부평 - 소사 - 오류동 - 노량진의 7개 역이었다. 이 무렵 승객은 하루에 겨우 20명 안팎이었고, 차 삯은 75전으로 일반 백성에게는 부담스러웠기 때문에 걸어다녔다. 또한 화물은 여전히 한강의 배편을 많이 이용하였기 때문에 적자를 면치 못하였다.

 

이어 한강 북안에서 서울역까지 약 3 km의 공사가 1900년 5월에 착수되어 7월 5일 한강 철교 준공과 함깨 완성되었다. 사흘 뒤인 7월 8일에 노량진과 서울(그 때의 서울역은 지금의 이화여고 자리) 사이의 전 구간이 개통되어 서울과 인천의 전 구간이 연결되었다. 경인선 선로는 전 구간을 통해 대체로 지세가 평탄한 곳이었기 때문에 터널이 하나도 없는 것이 특징이었다.

 

경인선을 처음 주행한 기관차는 미국 브룩스사에서 만든 모갈형 탱크 기관차였으며, 하루에 2번 왕복하였다. 기차가 내뿜는 불똥으로 철로변 민가에는 화재가 빈발하였다고 한다. 9월 19일자 독립신문은 철도 모습을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화륜거의 소리는 우뢰와 같아 천지가 진동하고 기관차의 굴뚝 연기는 하늘높이 솟아오르더라. 차창에 앉아서 밖을 내다보니 산천초목이 모두 움직이는 것 같고 나는 새도 미처 따르지 못하라`

 

월미도행 ‘꽃열차’ ‘경인 통학생 열차’ 등으로 유명하였던 경인선은 일제하, 광복 공간, 6·25 전쟁 등 급변하는 역사와 함께 증기 기관차에서 디젤 기관차, 전철로 모습을 바꿔왔다. 경인선은 1960년대에 복선화되었고, 1974년 수도권 전철화 계획으로 전철화되었다. 정부는 제물포와 노량진이 연결된 9월 18일을 1973년에 철도의 날로 지정해 그 뒤 기념해오고 있다.

31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