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칭백과

티칭백과란?

교과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콘텐츠로서, 스마트한 수업과 자기주도학습을 지원하는 온라인 백과사전 서비스입니다.

지원 서비스
- 주제별 맞춤 지식 공유
- 다양한 스마트 기기 지원
- 멀티미디어 자료 제공
Home > 중등 > 사회 > 사회①

시민 단체 市民團體

트위터 페이스북 메일 프린트 url복사

사회 전체의 이익을 실현하기 위해 시민이 자발적으로 만든 집단

시민 단체는 사회 전체의 이익을 실현하기 위해 시민이 자발적으로 만든 집단이다. 일반적으로 환경, 인권, 소비자 권리 보장 등 특정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거나, 특정한 정치·경제·문화적 신념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뜻을 함께하는 사람들이 결성한다.


시민 단체는 정부의 기관이 아닌 순수한 민간단체라는 뜻에서 비정부 기구(NGO, Non-Government Organization)라고 부른다. 또한, 국가 권력을 견제하고 시민의 권익을 옹호하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시민 사회 단체(CSO, Civil Society Organization)라고 부르기도 한다.


시민 단체는 정부에 정책을 제안하고 정책이 올바르게 결정되고 집행되는지 감시하고 비판하여 권력을 견제하는 역할을 한다. 시민의 권익 보장을 위해 국가 기관 외의 다양한 정치 주체들의 활동을 감시하고 비판하기도 한다. 또한, 공익에 대해 시민들이 관심을 두고 참여하도록 유도하고, 여론을 형성하는 등 사회 전 분야에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한다.


시민 단체는 공공선의 실현을 위해 조직한 집단이기 때문에 사적인 이익을 추구하는 이익 집단과 구별된다. 시민 단체는 공동선과 공공의 이익을 위해 봉사나 구호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국가나 기업의 자본으로부터 독립해서 활동한다. 현대 사회에서 영향력이 커지면서 시민의 정치 참여를 돕고 사회의 다양성을 실현하게 해 주고 있다.

  • 관련교과서 : 미래엔 225쪽, 비상 253쪽, 지학사 245쪽, 두산 231쪽
확인문제

정치 주체의 하나인 시민 단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해당 단체의 특수한 이익을 추구한다.
② 정치 참여에 대한 정치적 책임을 진다.
③ 직접 정책을 결정할 수 있는 공식적 주체이다.
④ 정치 과정에 참여하여 정책 결정에 영향력을 행사한다.
⑤ 사회의 공동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가 조직적으로 만든 집단이다. 

정답 확인하기

참고자료

참고자료

더보기 >

관련용어

지식나눔

관련된 나의 지식을 등록하여 공유할 수 있습니다.

의견나눔

0개의 의견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