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칭백과

티칭백과란?

교과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콘텐츠로서, 스마트한 수업과 자기주도학습을 지원하는 온라인 백과사전 서비스입니다.

지원 서비스
- 주제별 맞춤 지식 공유
- 다양한 스마트 기기 지원
- 멀티미디어 자료 제공
Home > 중등 > 사회 > 사회②

외교Diplomacy 外交

트위터 페이스북 메일 프린트 url복사

국제 사회에서 한 국가가 자국의 정치적 목적이나 이익을 평화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수행하는 모든 행위

외교는 국제 사회에서 한 국가가 자국의 정치적 목적이나 이익을 평화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수행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외교는 외교관 또는 정부 기관에 의한 주권 국가간의 공적 관계의 조정을 의미한다. 또한, 외교는 주권 국가 간에 분쟁을 처리하는 기술의 하나로, 협상에 의한 분쟁 해결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군사력의 행사나 국제 분쟁의 사법적 해결과 구별된다. 한편, 주권 국가 간의 협상이라는 측면뿐만 아니라, 한 국가의 대외 관계의 정부에 의한 운영의 총체를 외교라고 하기도 한다.


전통적으로 외교는 두 개 국가 간의 조정으로 인식되었으나, 냉전 후 정치적 상황의 변화와 통신 수단의 급속한 발달, 상호 의존의 진전 등으로 국제기구나 국제회의에서의 합의의 조정으로 외교의 무대가 확대되고 있다. 또한, 외교 행위의 주체도 외교관이나 정부 기관뿐만 아니라 비국가 행위 주체도 포함하게 되었다.


한편 1950년 미국의 국무 장관 D.G.애치슨은 미국 외교의 기본 방침을 천명한 연설에서 국가의 전력을 기울여 행하는 외교라는 의미로 총력외교(total diplomacy)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이는 권력자가 전권을 부여한 대사(大使)를 통해서 외국과 절충하는 고전적 방식의 외교와는 달리 외교의 폭이 비약적으로 넓어진 상태를 가리키는 말이다.

  • 관련교과서 : 미래엔 242쪽, 비상 252쪽, 지학사 256쪽, 두산 240쪽
확인문제

국제 사회에서 한 국가가 자국의 정치적 목적이나 이익을 평화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수행하는 모든 행위는?

정답 확인하기

더 알아보기

공공외교(Public Diplomacy)

공공외교는 외국 국민들과의 직접적인 소통을 통해 우리나라의 역사, 전통, 문화, 예술, 가치, 정책, 비전 등에 대한 공감대를 확산하고 신뢰를 확보함으로써 외교관계를 증진시키고, 우리의 국가 이미지와 국가 브랜드를 높여 국제 사회에서 우리나라의 영향력을 높이는 외교 활동을 말한다. 정부 간 소통과 협상 과정을 일컫는 전통적 의미의 외교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문화 · 예술, 원조, 지식, 언어, 미디어, 홍보 등 다양한 소프트 파워 기재를 활용하여 외국 대중(Foreign Public)에게 직접 다가가 그들의 마음을 사고, 감동을 주어 긍정적인 이미지를 만들어 나간다는 것이 공공외교의 기본 컨셉이다. 공공외교는 주로 외국의 대중을 그 대상으로 하지만, NGO·대학·언론 등도 여론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공공외교의 대상에 포함된다. 또한, 최근에는 외교 정책에 대한 자국민의 이해와 지지가 중요해짐에 따라, 자국민과 단체·기관도 공공외교의 범주에 포함하는 경향이 있다. 공공외교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주체들의 자발적 참여가 필요하다. 국민 개개인, NGO, 기업, 지방 자치 단체, 각급 정부 기관 등 다양한 수준의 행위자들이 상대 국가의 행위자들과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가운데 서로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이를 통해 상호 교류와 협력을 더욱 돈독히 할 때 공공외교의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외교부 ‘공공외교’ 홈페이지 
http://www.publicdiplomacy.go.kr

참고자료

관련용어

지식나눔

관련된 나의 지식을 등록하여 공유할 수 있습니다.

의견나눔

0개의 의견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