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콘텐츠로서, 스마트한 수업과 자기주도학습을 지원하는 온라인 백과사전 서비스입니다.
24절기 중 12번째에 해당하는 절기로, 소서(小暑)와 입추(立秋) 사이에 있다. 1년 중 날씨가 가장 무덥다는 날이다. 춘분점을 기준으로 하여 태양이 황도(黃道)의 120도(度)에 이르는 때로 양력으로 7월 23일경이다
24절기 중 12번째에 해당하는 절기로, 소서와 입추 사이에 든다. 음력으로 6월에 있으며, 양력으로는 7월 23일 무렵에 든다. 춘분쩜을 기준으로 하여 태양의 황경이 대략 120도 지점을 통과할 때이다. 이 시기는 장마 전선으로 비가 자주 오고 더위가 극도에 달하는 시기이다. 예부터 대서에는 더위 때문에 “염소뿔도 녹는다.”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이다.
옛날 중국에서는 대서 입기일(入氣日)로부터 입추까지의 기간을 5일씩 끊어서 삼후(三候)로 하였는데, “고려사”의 기록을 보면 대서는 6월 중기로 초후(初候)에는 썩은 풀에서 반딧불이 나오고, 차후(次候)에는 흙에 습기가 많으며 무덥고, 말후(末候)에는 큰 비가 때때로 온다고 하였다.
대서는 중복 무렵일 경우가 많으므로, 삼복 더위를 피해 술과 음식을 마련하여 계곡이나 산정(山亭)을 찾아가 노는 풍습이 있다. 때때로 이 무렵 장마전선이 늦게까지 한반도에 동서로 걸쳐 있으면 큰 비가 내리기도 한다. 불볕 더위, 찜통 더위도 이때 겪게 된다. 무더위를 삼복으로 나누어 소서와 대서라는 큰 명칭으로 부른 것은 무더위에 대한 경각심을 깨우쳐 주기 위함이다.
이 무렵이 되면 농촌에서는 논밭의 김매기, 논밭두렁의 잡초베기, 퇴비장만 같은 농작물 관리에 쉴 틈이 없다. 또한 참외, 수박, 채소 등이 풍성하고 햇밀과 보리를 먹게 되는 시기로 과일은 이때가 가장 맛있다. 그러나 비가 너무 많이 오면 과일의 당도가 떨어지고, 가물면 과일 맛이 난다. 특히, 수박은 가뭄 뒤에 가장 제맛을 낸다.
<출처: 한국세시풍속사전>
관련된 나의 지식을 등록하여 공유할 수 있습니다.
총 0개의 의견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