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기 교육
아이들과 함께 사회적 이슈나 사건에 대해 알아보고, 관련 수업을 진행해 보세요!
24절기 중 여섯 번째 절기인 곡우는 양력 4월 20일 무렵입니다. 곡우(穀雨)는 봄비가 내려 백곡을 기름지게 한다는 뜻입니다. 이는 ‘곡우에 내리는 비가 온갖 곡식을 싹트게 한다’는 말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
곡우에 나라에서는 농민들에게 볍씨를 나눠주었으며, 농민들은 못자리를 마련하고 볍씨를 담그고, 논에 퇴비를 마련해 두었습니다. 이처럼 곡우는 본격적으로 농사일을 시작한 절기입니다. 볍씨를 담그는 일은 논농사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으로 여겨 볍씨를 담그는 가마니에 솔가지를 엎어 악귀를 쫓았습니다. 또한 궂은일을 겪은 사람이 볍씨를 보거나 만지면 싹이 잘 트지 않고 농사를 망친다고 여겨 볍씨를 구경조차 못하게 했습니다. 볍씨를 담근 항아리에 금줄을 쳐놓고 고사를 올리며 벼농사의 풍년을 기원했습니다.
곡우에는 곡우 전에 찻잎을 따서 만든 녹차인 ‘우전차’를 마셨습니다. 우전차는 ‘이른 봄에 가장 먼저 딴 찻잎으로 만든 차’라하여 ‘첫물차’라고도 합니다. 곡우의 먹거리로는 곡우에 잡힌 조기인 ‘곡우사리’가 있습니다. 이때 잡히는 조기는 알이 많이 들어있고 맛이 좋아 곡우사리를 으뜸으로 여기고 있습니다.
곡우는 ‘곡우에 비가 오면 풍년이 든다’라는 속담처럼 이때 내리는 봄비는 단비이며, 논농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됨을 뜻합니다.